요즘 에크하르트 툴레의 <Now>를 읽고 있다.
전에 사뒀다가 손이 가지 않아 제쳐두었는데
지하철 이용시간이 늘어나면서 뭔가 읽을거리를 찾다가 만나게 된 것이다.
이제 한 3분의 1을 읽었나 싶은데
반가운 친구 하나 알게 된 흐뭇함에 기분이 좋다.
그것은 툴레가 얘기하는 '에고'가
내가 알고 있는 그것과 다르지 않음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툴레는 '에고'를 누구에게나 있는 '기능장애'로 보고 있다.
그리고 '에고'를 자각하는 일만으로도 '기능장애'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한다.
문명은 이 '기능장애'가 쌓아온 역사의 축적물이며
이 '기능장애'가 버젓이 존재하는 한
과학, 철학, 예술 등 그외의 어느 분야이건 광기의 발현에 불과할 뿐이라는 것이다.
좀 과격하게 말을 옮긴 면이 있으나
'에고'를 '기능장애'로 보는 재밌는 발상을 통해
인간과 인간이 만들어 온 역사를 통찰하는 하나의 혜안임은 분명하다.
그러고보면 우리가 언급하는 '깨달음'을
현실적인 의미에서 풀어보면
자신의 '에고'에 대한 자각인 지도 모른다.
이 <'에고'에 대한 자각>만이
'에고'와의 동일시에서 벗어나는 길이며
광기로 얼룩진 비극을 멈추게 하는 열쇠인 것이다.
명상이 필요한 이유도
이 '에고'를 보게 하여
더 이상 '에고'에 휘둘리지 않게 되려 하는 것에 있다.
더 읽어봐야겠지만
<NOW>가 제시하는 비전에 십분 공감한다.
이것은 엊그제 박석교수가 들려준
'명상의 사회화'와도 일맥상통한다.
'깨달음'이 개인에게서 그치는 것은 그 자체로 훌륭하다.
그러나 이것은 기존의 '깨달음'이다.
이제 그것은 생활이라는 삶의 현장에서 펼쳐지고 드러나야 할 것이다.
이것이 비극이 마법이 되는 연금술(깨달음)의 바른 쓰임일 것이다.
2008. 11. 9
'비극에서 마법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음에 대한 2가지 질문에 대한 나름의 답 (1) (0) | 2010.06.26 |
---|---|
죽음에 대한 질문 2가지 (0) | 2010.06.26 |
메멘토 모리 (Memento mori) :에고에 대한 선전포고 (0) | 2010.06.26 |
길 떠난 자의 사라지는 아름다움 (0) | 2010.06.26 |
침묵 (0) | 2010.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