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극에서 마법으로

대화, 세번째: 새로운 날을 위하여, 그렇지만 꼭 필요하지는 않은 - 제가 하는 행동이나 생각을 모두 부정하고 나면, 즉, 내가 아니다를 계속 반복하다보면, 어느순간 저와 분리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일부러 분리하려고 하면 좀 어렵지만, 제 행동과 생각이 낱낱이 보이게 되고, 물론 에고도 있음을 알지만 별로 문제될 건 없는데요. 이러한 경우에는 마치 소화가 되지 않는양 가슴쪽에 뭔가 있습니다. (별로 좋게는 느껴지지 않네요...) 예전에 본 포로수용소의 죄수가 고문을 이겨내기 위하여 썼던 방법인 듯 한데요... 하지만, 명확하게 생각이 보이고, 행동이 보이고, 말할 때도 상관없고, 공포도 보여지는 점 등등등은 좋습니다만, 뭔가 순화를 하여야 할지 속이 좀 꺽꺽 거리게 되네요... 제가 제대로 가고 있는지 좀 궁금하네요... 예전에 이러다가 아닌 것 같아서 말았던 기억이 .. 더보기
대화, 두번째: 당신의 에고는 안녕하십니까? 첫번째 대화의 마지막 부분입니다. ('첫번째', '두번째'라는 이름을 붙인 것은 편의상 붙인 것입니다) ...... -아~~~ 어렵고도 쉽지 않네요... ㅠ.ㅠ 저는 제 스스로를 에고가 떨어져 나갈 초기 단계에 있다고 보고 싶습니다... 현재와 있다는 느낌에는 몸 하나하나 움직일 때마다 기쁨과 희열이 존재할 때가 있습니다... 그런중에도 도대체 이 에고는 왜 갑자기 불현듯 나타나나요? 스스로를 드러내고 스스로가 사라져 주면 안될지 참으로 답답하군요... 이러한 중에도 계속 지켜보겠습니다만, TV를 보거나, 메일등의 글을 읽고 쓸 때 이넘의 에고는 어떻게 처리해야할지 답답하네요... 위의 글에는 답글을 달지 않았습니다. 그렇더라도 어떻든 질문을 주신 분은 이 단계에서 에고의 꼬리를 잡은 것으로 보입니다. .. 더보기
대화, 첫번째: 비극에서 마법으로, 그리고 ... 프롤로그 앞서 소개한 어떤 분과의 대화를 정리했다. 정리를 해놓고 보니 비교적 분량이 꽤 된다. 닉네임과 개인적인 신상에 관한 대화는 뺐다. 지금까지의 그분과의 대화가 '비극에서 마법으로'라는 블로그의 성격에 가장 충실하다고 생각되어서 그분의 양해를 얻어 공개하게 되었다. 대화를 공개해도 좋다는 그분은 대화의 공개가 영성의 길을 가고자 하는 사람에게 내성으로 작용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밝혔다. 여기서 명백히 할 것은, 영성의 길을 걸어가는 데에 현재 걷고 있는 -누구든 상관없이 영성의 길을 걷고 있다면- 자신의 길이 다른 어떤 것보다 더 낫거나 못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 이 대화는 읽는 사람에 따라 받아들여지는 정도가 다를 것이다. 어떤 이에게는 전혀 생소한 내용이어서 무가치하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 더보기
깨달음을 찾는 그대에게 2: 공짜는 없다 지난 글에서, '깨달음'을 자신을 놓아주어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라고 했는데 '깨달음'에 대한 견해야말로 사람마다 제 각각이어서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식이긴 하다. 그러니 이 글을 심각하게 읽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이 글에서 주장하는 내용들이 모두 '꼭 그렇진 않을 수가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면서 읽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오늘은 각각의 정의에 따라 백인백색인 '깨달음'에 대한 다른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깨달음'의 과정을 가장 상징적으로 비유할 수 있는 것이 '산을 오르는 일'이 아닐까하고 여긴 적이 한 두번이 아니다. 산의 정상을 향하여 한걸음 두걸음 뚜벅뚜벅 내딛는 일이 깨달음을 위해 정진하는 모습과 너무 닮았다는 것이다. 차이점이 있다면, 산의 정상은 .. 더보기
자존감 깨달음에 대한 많은 정의가 있는 가운데 근래에 신이 정의하는 '깨달음'이 새삼 와 닿는다. 다시 한번 '깨달음'에 대한 신의 정의를 옮겨 본다. "... 뭔가를 생각하거나 말하거나 행하기 전에 직관력과 심능력을 사용하여 자기 내면깊이 들어가 자신의 느낌과 만나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나중에 라도 그렇게 하는 사람 또한 아주 드물다. 하지만 네가 이렇게 한다면, 너 는 경쾌함 이상의 만족감을 느낄 것이다. 너는 무거운 진동과는 전혀 관계 하지 않게 될 것이다. 네가 관찰하고 창조하고 체험하고 표현하는 모든 것의 진동을 가벼워 지게(lighten) 할 것이다. 너희는 이것을 '깨달음(enlightenment)'이라 부를 것이고, 아주 짧은 시간 안에 놀라운 결과를 보게 될 것이다.' ...... 신의 정의에.. 더보기
원하는 것을 이루지 못하는 믿음의 충돌에 대해 2 저번 글에 이어서 ... 잘 안되는 까닭은 그 순간에도 머리가 계산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지상정이라고 무언가 이루어지길 바라면서 머리가 어떤 속셈을 하지 않기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아니 어려운 일이 아니라 이런 경우는 거의 자동이나 다름없다. 머리는 기본적으로 믿을 줄을 모른다. 머리에서는 믿음이 자라날 여지가 없는 것이다. 머리가 믿음과 관련해서 할 수 있는 일이 믿음을 앎으로 대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머리가 앎으로 대체할 수 있는 믿음은 굳이 얘기하자면 믿음의 쭉정이 같은 것이다. 그건 차마 믿음이라고 부르기에도 민망한 것들인 것이다. 가슴으로, 온 몸으로, 온 존재로 믿을 때 그제서야 믿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반석과 같은 믿음'이라고 할 때의 믿음이 이런 믿음이다. '아, 이렇게 한다.. 더보기
툴레의 <Now>를 읽으며 깨달음의 쓰임을 생각하다 요즘 에크하르트 툴레의 를 읽고 있다. 전에 사뒀다가 손이 가지 않아 제쳐두었는데 지하철 이용시간이 늘어나면서 뭔가 읽을거리를 찾다가 만나게 된 것이다. 이제 한 3분의 1을 읽었나 싶은데 반가운 친구 하나 알게 된 흐뭇함에 기분이 좋다. 그것은 툴레가 얘기하는 '에고'가 내가 알고 있는 그것과 다르지 않음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툴레는 '에고'를 누구에게나 있는 '기능장애'로 보고 있다. 그리고 '에고'를 자각하는 일만으로도 '기능장애'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한다. 문명은 이 '기능장애'가 쌓아온 역사의 축적물이며 이 '기능장애'가 버젓이 존재하는 한 과학, 철학, 예술 등 그외의 어느 분야이건 광기의 발현에 불과할 뿐이라는 것이다. 좀 과격하게 말을 옮긴 면이 있으나 '에고'를 '기능장애'로 보.. 더보기
비극에서 마법으로 36계 버전 2천여년 전, 예수의 외침이다. 예수는 귀가 있으면서도 제대로 듣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눈이 있으면서도 제대로 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제대로 들어달라고, 보아달라고 했다. 그런데 정작 문제는 예수의 외침이 거의 쓸모없을 정도로 소모적이라는 데에 있다. 이건 아이러니다. 만일 당시의 사람들이 예수의 이 외침을 알아들었다면 예수는 굳이 외치지 않았을 것이고 또, 그들이 알아듣지 못하는 한 예수의 외침이 그들에게 전달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극이 마법이 되기 위해서는 자신 안의 치워져야 할 것이 있다. 들리는 것을 들리는 그대로 듣지 못하게 하고 보이는 것을 보이는 그대로 보지 못하게 하는 '나'라는 자아, 에고가 떨어져 나가야 하는 것이다. 그러고보면 이것도 애매하다. 그 에고라는 녀석은 기를 .. 더보기
누가? 는 무엇으로 보느냐의 문제가 아닐까? 비극을 마법으로 보든, 마법을 비극으로 보든, 아니면 그도 저도 아닌 것으로 보든, 결국 보는 자는 어떤 잣대를 가지고 있는가?의 문제가 아닐런지 ... 비극이나 마법이나 ... 그러고보면 비극 속에 마법이 있음이요, 단지 그것을 못 볼 따름이고 마법 속에 비극이 있으니, 단지 그것을 보지 못할 따름일텐데, 이 모든 것들이 처음부터 섞여 있었는데 그걸 나누고 가리킨 사람은 ...... 누고? 2006/11/18 더보기
비극과 마법 사이에서의 '하려'함에 대해 사랑을 할려고 해서 눈물을 흘렸다. 무수한 '하려'함이 비극이라면 비극이었다. 그 '하려'함이 멈추면 마법이 시작된다. 멈추어서 그것을 알때 존재는 비로소 가득차고 그 가득함으로 꽃은 향기를 터뜨린다. 향기는 저절로 우주로 퍼져가고, 그제서야 '하려'함은 존재를 구속하지 않는다. 눈앞에서 펼쳐지는 그것이 연금술이요 마법이다. 2006/10/03 더보기
초등학교 다니던 어린시절엔 등교길에 보게 되는 아침햇살을 보며 가슴설레였던 적이 한 두번이 아니다. 금방이라도 파란 물이 뚝뚝 떨어질 것만 같은 하늘 한켠으로 부챗살로 퍼져나가는 찬란한 햇살... 혹시라도 흰구름이 뭉게뭉게 피어오르면 설레임은 한결 더해만 갔다. 옥상 난간에 앉아 지는 해가 만들어내는 장엄한 붉은 물결을 한없이 바라보던 때나, 무수히 쏟아져내리는 별빛에 황홀했던 때가 혼자 시간 보내기를 좋아했던 어린 시절의 내 유일한 樂이었다. 그런데 시간이 나를 이만큼 데려다 놨다. 세상을 알게 된 건 언제부터였을까? 언제인지 정확하진 않아도, 아마 세상을 알게 되면서부터 어린 시절의 설레임은 사라졌던 것 같다. 그리고 그렇게 내가 알게 된 세상은 온통 비극 투성이다. 온갖 부조리며 허다한 위선의 가면.. 더보기
먹을 것인가? 먹힐 것인가? "It Is Finished" 프롤로그 : 오랜 의문, 세상은 비극인가? 아주 오래 품었던 의문이 김용철 변호사의 라는 책을 읽고 명확해졌다. 설마 했고 어느 정도 짐작은 했는데 이 정도일 줄은 몰랐던 것이다. 이 책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부패공화국이요, 삼성공화국이나 다름없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 책에서 소개된 삼성의 각종 불법과 탈법들에 대해 심판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의 대한민국이 어떤 나라인가? 법치를 강조하는 대통령이 포괄적 뇌물죄로 전직 대통령을 벼랑으로 내몰고 전직 총리를 파렴치한으로 만들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언론을 가진 나라 아닌가? 그런데 왜 대한민국은 삼성 앞에 서면 한없이 작아지기만 할까? 오래 품었던 그 의문은 아주 어린 시절부터 시작된 거라 유래가 깊다. 곤궁했던 어린 시절.. 더보기